기업 부채 2734조원…연 8%씩 급증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우리나라 기업 부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부채는 2023년말 기준으로 2734조원을 기록, 2018년부터 6년간 1036조원이나 늘었다. ⓒ 연합뉴스

최근 우리나라 기업들의 부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6년간 약 1000조원 가까이 늘었다. 대체로 부동산 투자 등의 명목으로 부채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20일 발표한 '우리나라 기업 부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 부채는 2023년말 기준으로 2734조원을 기록했다. 2018년부터 6년간 1036조원이나 늘었다. 같은 기간 연평균 기업 부채 증가율은 8.3%을 나타냈다. 이는 연평균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3.4%)의 두 배를 훌쩍 넘는 수치다. 이에 명목 GDP 대비 기업 부채비율은 지난 2017년말 92.5%에서 2023년말 122.3%로 급등했다.

한은은 기업 부채의 증가 원인을 기업 부문(종류)별로 나눠 분석했다. 우선, 2010년대 중반 이후 부동산 경기 활황과 함께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부동산업에 대한 대출이 급증세를 탔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로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한 개인 사업자 금융 지원 조치도 기업 부채가 증가하는 데 한몫을 했다. 실제로 지난 2017∼2019년 연평균 24조원 수준이던 개입 사업자 대출 증가 폭은 코로나19 피해 기업 보증 지원·대출 상환 유예 등의 여파로 2020∼2022년 연평균 54조원으로 두 배 이상 불어났다.

부동산업과 개인 사업자를 제외한 일반기업의 경우, 2020년 이후 대기업을 중심으로 업황 부진에 따라 영업자금 수요와 시설투자 자금 수요가 모두 확대하면서 전체 부채 규모가 늘었다.

한은은 이들 국내 일반기업이 빚을 내는 동시에 유상증자·기업공개 등을 통해서도 자본 확충에 나서며 건전성 지표는 대체로 안정적이라 평했다. 일례로, 국내 기업의 부채비율(2022년 기준 122%)은 독일(200%), 일본(145%), 미국(121%) 등과 비하면 낮거나 유사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다만, 일반기업의 경우도 한계기업(이자보상비율이 3년 연속 100% 미만인 기업)의 부채 비중이 커지는 등 부채의 질이 떨어지는 점은 위험 요소로 거론됐다. 전체 일반기업 부채 대비 한계기업 부채의 비율은 2021년말 14.7%에서 2022년말 17.1%로 상승했다.

류창훈 한은 시장총괄팀 과장은 "기업 신용(빚)이 국가 경제 관점에서 생산적 부문으로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런 점에서 부실 우려가 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에 대한 질서 있는 구조조정을 통해 부동산 부문의 점진적 디레버리징(차입 상환·축소)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특히 향후 국내외 통화 정책 기조 전환 과정에서 금융 기관의 신용 공급이 부동산 부문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거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