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실련 “5대 기업 계열사 2007년比 두 배 이상↑…재벌개혁 필요"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주요 및 재벌 개혁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왼쪽부터 김성달 사무총장, 유호림 재정세제위원장, 오세형 경제정책팀 부장 ⓒ연합뉴스

국내 상위 그룹의 계열사 수가 16년 전보다 두 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런 내용을 발표하고 "특정 재벌에 경제력 집중이 방치된다면 기술혁신과 시장 활력을 통한 국가의 지속 가능한 성장은 불가능해진다"며 재벌 개혁을 촉구했다.

이번 조사의 분석 대상은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롯데 등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 공시대상기업집단 가운데 총수가 있는 상위 5대 기업이다.

경실련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계열사는 지난해 504개로, 2007년 227개와 비교해 2.22배로 늘었다. 이 기간 SK의 계열사가 158개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그다음으로 롯데(55개), LG(31개), 현대차(28개), 삼성(5개)의 순이었다.

업종별로 건설·부동산·임대업 부문에서 롯데가 19개로 가장 많은 계열사를 두고 있었다. 금융·보험·증권 부문은 삼성이 16개로 제일 많았다. 전문·과학·기술·교육·사업 지원 서비스는 SK(30개), LG(21개), 삼성(17개), 롯데(15개), 현대차(4개) 순이었다.

경실련은 "재벌들은 내부 거래가 용이한 금융업, 건설·부동산·임대업, 전문·과학·기술·교육·사업지원 서비스업 등에 중점을 두고 계열사를 확장해 온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부 거래가 용이한 업종들은 내부거래를 통해 손쉽게 총수 일가의 사익 편취를 가능하게 한다"며 "(기업들은) 안정적으로 기업가치를 키울 수 있으므로 혁신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경실련은 "폐지되거나 사실상 기능을 상실한 출자총액제한제도, 상호출자제한, 채무보증금지, 지주회사제도 등이 제대로 작동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궁극적으로 정부는 혁신형 경제가 잘 작동하도록 제도적 기반을 만드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면책 조항: 이 글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습니다. 이 기사의 재게시 목적은 정보 전달에 있으며, 어떠한 투자 조언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만약 침해 행위가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수정 또는 삭제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